반응형
env란?
- 어플리케이션 및 웹 개발 중 외부에 공개되면 안되는 정보(예: 포트 번호, 데이터베이스 관련 정보, 토큰, API 키 등)가 존재
- 이러한 정보가 하드 코딩으로 구성 파일에 포함되면 깃허브나 기타 오픈소스에서 관련 정보들이 노출될 위험이 있음
- 또한, 서버나 토큰 정보가 수정될 경우 하드코딩을 하였기 때문에 코드를 다시 수정하여 배포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합니다.
- 이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nv 파일을 사용합니다.
env 파일을 사용하게 되면 외부에 공개되면 안되는 정보들을 구성 파일에 하드코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외부 파일(.env)에 환경 변수를 정의하여 변수로 받아오는 이유는 보안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React에서 .env 파일 생성하는 방법
- `.env` 파일 만들기
- 먼저 React 프로젝트 최상위 루트에 `.env` 파일 생성
- `.gitgnore`에 `.env` 추가
- 깃허브 등 오픈소스 공개 시 해당 정보가 업로드되는 것을 막기 위해 `.env` 추가
- 외부로 알려지면 안될 민감한 정보 작성 (value 값에 ‘ ’, “ ” 와 같은 따옴표로 감싸지 않아야 함)
- 줄 끝에 , 또는 ;를 붙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변수명 앞에 `REACT_APP_`를 꼭 붙여줘야 함
- 등록한 변수 사용하기따라서 전역 어디서든 `process.env.{변수이름}`으로 가져와서 사용하면 됨.
- `.env`에 등록된 변수는 별도의 import가 필요하지 않음
반응형
'👩💻 Programming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화면(DOM) 캡쳐 및 저장 기능 구현 (1) | 2025.03.05 |
---|---|
[WEB] Axios의 정의와 Interceptors 초기 세팅 (0) | 2025.03.03 |
MobX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0) | 2023.04.11 |
[RN] React Native의 작동 원리 (0) | 2023.03.17 |
[RN]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Redux란 ?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