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의 중요성
과거에는 지능지수가 중요했다면 최근에는 감성지수가 중요해지고 있음
감성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
# 감성은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과거에는 시스템이 본연의 기능만 잘하면 됨.
- 최근에는 기능을 사용하는 과정이 쉽고 편리, 더 나아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즐겁고 재미있다고 느껴야 함
HCI : UI → UX
# HCI의 초점이 UI에서 UX로 옮겨가면서 순전히 감성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UI : User Interface(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약자로 컴퓨터, 웹사이트, 시스템 등의 정보 기기와 유저가 만나는 면 뜻함
(디스플레이 화면, 아이콘, 검색창, 키보드, 문자, 색상, 폰트 등 디자인적 요소 + 반응형 등의 기술적 요소)
UX: User eXperience(사용자 경험)의 약자로 사용자가 컴퓨터, 웹사이트, 시스템 등 정보 기기의 ui를 직, 간접적으로 이용하며 경험한 모든 것 뜻함
(디바이스를 구매할 때 느낌, 집에서 포장 개봉할 때 느낌,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 느끼는 만족감 혹은 불편함 등)
EX) 파로(Paro) _ 디지털 제품
- 애완용 감성 로봇, 복슬복슬한 새끼 바다 표범
- 코로 시각과 청각 감지, 몸전체에 걸쳐 촉각 감지
- 인간과 상호작용할 때는 실제 새끼 바다 표범처럼 움직이고 울면서 특별한 명령 없이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함
- 기존의 심리치료용 동물을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 à 환자들과의 정서적 교감을 통해 치매 및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 치료
- 애완동물로서의 감성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이 제품의 주요 목적
EX) 닌텐독스 : 디지털 서비스
- 닌텐도에서 개발한 터치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게임
- 인간과 가장 친숙한 강아지와 함께하는 생활을 콘셉트로 구성
- 시각적 자극 + 청각적 자극 + 촉각자극 (터치스크린 사용)
- 사용자 내부에 생기는 감성적 측면을 공략 à 사용자가 이를 게임이 아닌 실생활로 받아들일만큼 강력한 감성 제공
# 게임이나 동영상 같은 유희적 목적의 시스템뿐만 아니라 증권 거래나 사무 용품 상점과 같은 기능적 목적의 시스템에서도 감성의 중요성 ↑
유희적 가치 : 제품이나 서비스의 소비를 통해 사람들이 느끼는 감성적인 만족 혹은 즐거움 의미
1.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핵심 가치에 따라 그에 맞는 감성을 제공하는 것 중요
디지털 카메라 : (작은 카메라 크기와 필름) 경량화 콘셉트 → 클래식한 인상 유지, 강력한 감성
2. 사용자 스스로가 감성적인 요소를 표현하게 유도하는 전략 중요
이모티콘 : 간단한 문자들의 조합을 통해 문자를 보내는 사람이 현재 느끼는 감정의 상태를 표현하는 상징
자주 사용 되는 이유 : 인터넷 환경에서는 글자 외에는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음
→기술적 한계로 다양한 감정 전달 수단 제공 X →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 자의적으로 만든 도구
감성이란
감성은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에 의한 감각이나 지각을 통해 인간의 내부에 일어나는 미적이고 심리적인 체험이다.
아름다운 그림을 지각하고 즐거움을 느낀다.
맛있는 냄새라는 외부의 자극을 받아 만족감을 느낀다.
감성 = 여러 개념이 섞인 주관적인 체험
# 감성의 세부 요소
감성의 세부 요소에는 정서, 정취, 인상, 개성이라는 4가지 요소가 있다.
1. 정서(emotion)
- 감성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이면서도 복잡한 요소, 비교적 단시간에 갖게 되는 특정 대상에 대한 감성
- 국적이나 인종을 불문하고 인간이라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감성
(공포영화를 보고 한국 사람도 미국사람도 비슷한 감정을 느낌)
2. 정취(mood)
- 미약하지만 정서보다 더 오랜기간 지속되는 감성, 특정한 내용이나 대상과 상관없는 막연한 신체적 생리 상태에 대한 감각
- 사람들을 둘러싼 모든 환경이 그들이 느끼는 정취에 영향을 줌
(오늘 하루 기분이 불쾌하다고 했을 때 그런 불쾌한 상태가 정취)
3. 인상(impression)
- 특정 대상에 의해 사람에게 각인되는 심리적 변화의 일종, 어떤 대상물을 처음으로 관찰했을 때 느껴지는 감성이라고 볼 수 있음
- 이러한 인상이 마음에서 다시 재생되면 그것이 정서
- 정서를 기본 감성(primary emtion), 인상을 부가적 감성(secondary emtion)으로 나누기도 함
4. 개성(personality)
- 인상 중에 특히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인상
- 대상이 되는 사람의 성별, 연령, 사회 계층, 개인의 성격 등 인간과 관련된 특성 변수들을 모두 포함하는 매우 광범위한 개념
- 과거에는 주로 사람을 대상, 최근엔 브랜드나 웹사이트 등의 범위로 확장
(컴퓨터 상에 나오는 대상을 마치 사람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졌음)
'🎨 UX & HCI' 카테고리의 다른 글
HCI 개론 : 감성의 원리_인상, 개성 (0) | 2021.07.20 |
---|---|
HCI개론 : 감성의 원리_정서 (0) | 2021.07.20 |
Laws of UX : Jakob's Law (0) | 2021.07.20 |
Laws of UX : Fitts's Law (0) | 2021.03.29 |
Laws of UX : Jakob's Law (0) | 2021.03.29 |